성큼 다가온 우주여행시대, NASA가 주목한 영양공급원 미세조류

By:  Talking Nutrition Editors

 

현재 전세계적인 우주 개발 열풍과 함께 우주여행 시대가 성큼 다가왔는데요,  우주 여행사들이 먹는 우주 식품과 dsm-firmenich는 과거부터 놀라운 연관성을 가지고 함께 성장해왔습니다. 특히 우주 여행사들의 영양과 건강을 위한 물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미세조류’의 잠재력이 발견되었는데, 오늘은 영양 전문가 dsm-firmenich와 함께 우주 식량개발 역사와 미세조류의 발견, 그리고 그 잠재력에 대해 알아봅시다.

"DSM 와 Firmenich가 만나 탄생한 이름

dsm-firmenich가 첫 번째 생일을 맞았습니다!

하나로 나아가는 앞으로의 발걸음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우주 비행사는 무엇을 먹을까?

과거 우주 비행사들이 먹었던 식사는 전투식량과 같은 간편한 식품이었습니다. 1961년 인류 최초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먹은 최초의 우주 식량은 튜브 형태였다고 합니다. 치약 모양의 알루미늄 튜브에 다진 쇠고기와 디저트용 초콜릿 소스가 담겨 있었고 이를 치약 짜듯 짜먹었다고 합니다.그 이후에도 수십 년에 걸쳐 우주 음식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었지만 통조림, 진공 비닐 팩 등의 형태 이외의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지는 못했습니다.

최초의 우주식량, 출처: NASA (www.nasa.gov)

그러나 최근 전 세계적으로 우주 열풍이 불면서 우주 식품들 또한 혁신적으로 발전하고 있는데요, 이제는 ‘우주 맛집’ 경쟁이라 불릴 만큼 우주 비행사들을 위한 다채로운 음식들이 제공되고 있습니다. 미슐랭 스타 셰프들도 우주 비행사들을 위해 특별한 코스 메뉴을 개발하는가 하면, 우주에서 직접 작물을 재배하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프랑스 유명 디저트 요리사가 스페이스X 드래곤 우주선을 통해 라즈베리 맛 ‘우주 마카롱’을 국제 우주정거장으로 보냈다는 소식이 있었는데2, 여기에서 우주 식량이 진화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한편 우주 비행사들을 위한 음식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영양 성분입니다. 우주 비행사들은 우주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체중 조절과 체력 유지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주 음식 전문가들은 영양 성분을 최대한 고려하고 유기농 재료를 사용하여 우주식량을 제조하고 있다고 하죠.

우주인들의 산소가 될 ‘미세조류’

우주 비행사들이 우주에서 숨을 쉬기 위해서는 지구에서와 달리 별도의 산소 공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산소 공급은 우주비행사에게 영양공급 만큼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주 비행사들이 장기간 우주에서 생활하거나, 먼 목표지에 도달하려면 산소와 식품을 공급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미세조류’가 혁신적인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광 바이오-반응기(Photo Bioreactor)라 불리는 반응기는 우주 비행사들이 호흡 과정에서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미세조류의 광합성에 이용해 산소로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된 반응기 입니다. 이를 통해 우주 비행사들은 언젠가 지구로부터의 산소의 추가 공급 없이도 미세조류를 통해 우주에 장기적으로 머물 수도 있게 됩니다.3

이뿐만 아니라, 미세조류는 영양학적 가치가 뛰어난 식품입니다. 미세조류는 오메가3, 아미노산, 단백질 및 탄수화물 등의 영양성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4 따라서 미세조류가 우주 영양공급원으로 자리잡을 경우, 우주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철저히 영양 성분 관리를 해야 하는 우주 비행사들에게 최적화된 생물이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우주인들의 산소가 될 ‘미세조류’

NASA​는 여전히 ‘미세조류’의 가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NASA의 과학자인 조나단 트렌트는 미세조류를 활용하여 대체 에너지 생산을 혁신적으로 연구하는  ‘오메가 프로젝트(Offshore Membrane Enclosures for Growing Algae)’ 를 이끌고 있습니다.5

이 프로젝트는 해양에서 미세조류를 양식함과 동시에 폐수를 처리하고, 심지어 해양 작물도 생산할 수 있는 시스템을 연구합니다. 이를 통해, 담수나 비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바이오 연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NASA는 여전히 미세조류의 가치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계 최초 미세조류 유래 식물성 오메가-3 life's® OMEGA

1. 역사가 증명하는 식물성 오메가-3, life's®OMEGA

dsm-firmenich(구 DSM)는 미세조류를 오메가-3로 탄생시켰습니다. dsm-firmenich의 life's®OMEGA는 1980년대 초 NASA의 우주연구 과정에서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우주 여행에서 사용될 음식 및 산소 공급원을 찾다가 NASA는 오메가-3 공급원으로서 미세조류의 영양학적 가치를 발견하게 된 것이죠.

그 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1985년 NASA의 영양과학자들이 Martek Biosciences를 설립했고 현재 life's®OMEGA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아 life's®OMEGA는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SPACE Certification 기술 인증마크를 획득한 오메가-3가 되었습니다.

2. EPA 와 DHA를 한번에 만날 수 있는 유일한 식물성 오메가-3, life's®OMEGA

dsm-firmenich는 NASA 연구에 이용된 핵심 기술을 활용해 미세조류 단일종에서 DHA 뿐 아니라 EPA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유일한 회사입니다.특히 EPA는 혈중 중성지질 개선 및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고 혈전 생성을 방지하고 혈압을 낮춰 맥박수를 떨어뜨리는 효과도 있어 심장 건강과 염증 관리에 도움을 주는 점에서도 그 가치가 주목받고 있습니다.6

3. 오메가-3 전문가를 넘어 미세조류 전문가가 된, dsm-firmenich

식물성 오메가3를 고르실 땐 반드시 life's®OMEGA 마크를 확인하세요! life'sDHA®에서 시작된 dsm-firmenich의 미세조류 오메가-3 브랜드, life's® 는 현재 전세계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식물성 오메가-3 브랜드로3,500가지가 넘는 미세조류 데이베이스를 보유 및 관리하며 미세조류 전문성까지 자랑합니다. 이는 민간 기업중 가장 많은 미세조류 가짓수입니다.

dsm-firmenich의 프리미엄 미세조류 오메가-3 원료, life's®OMEGA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NASA 연구로부터 비롯된 life's®OMEGA는 dsm-firmenich만의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생산되고 있습니다. 

오메가-3의 오랜 역사를 함께한 dsm-firmenich의 전문성과 품질은 수많은 소비자들의 만족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dsm-firmenich는 언제나 다양한 제품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제품의 기획부터 출시까지 함께하는 파트너가 되어 여러분의 혁신적인 제품 개발에 동참하겠습니다. dsm-firmenich와의 제품 개발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싶으신가요? 

혁신의 파트너 dsm-firmenich와 함께 건강한 미래를 만들어보세요.

Published on

13 May 2024

태그

  • 새로운 과학 지견
  • 기사
  • 전연령 필수 영양소
  • 채식주의자 필수 영양소
  • 생애주기별 필수 영양 솔루션
  • 영양 지질
  • life’sOMEGA

공유

5 min read

관련기사

관련 항목

참고문헌

1.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4/01/18/6I6BQYHLVZCNHH7JB4RZUEJK4E/

2. https://www.chosun.com/economy/weeklybiz/2024/01/18/6I6BQYHLVZCNHH7JB4RZUEJK4E/

3. https://www.g-enews.com/ko-kr/news/article/news_all/20190519052154523994b5829de2_1/article.html

4. https://biz.chosun.com/science-chosun/science/2023/01/21/LI44NPU2YFDZDNZJPF4IIQIBOQ/?utm_source=naver&utm_medium=original&utm_campaign=biz

5. https://www.nasa.gov/ames/space-biosciences/offshore-membrane-enclosures-for-growing-algae/

6. https://www.lawtimes.co.kr/opinion/192319?serial=192319